KKShoney

보어의 이해(1) 본문

Study/영어구문독해

보어의 이해(1)

kkshoney 2020. 7. 8. 10:41

구문독해 기초세우기 보어의 이해(1)

 

 

 be to 용법

 

be to 용법은 5가지가 있다

예,   의,   가,   운명

예정, 의무, 의도, 가능, 운명

 

be to 용법은

원래 패턴이 be ~ to 인데,

~부분을 생략해도 문맥상 이해가 되니,

말을 편하게 줄여쓰고자 하는 의도를 보여준다.

 

 

 예정

우리가 아는 be going to 에서 going 을 빼고 쓰는 것

She is (going) to wash her car.

 

 의무

'의무' 는 수동태 표현에 익숙해야 잘 이해된다.

 

She asked me to go there. 

수동태로 고치면

=> I was asked to go there by her. 

나는 거기에 가도록 요청받았다 그녀로부터

 

be to  용법  '의무' 는

be asked to ~

be made to ~

be required to ~

 

 등등의 표현들을 줄여놓은것

 

be asked to 의 느낌은 일반적 요청

be made to 의 느낌은 좀 강한 요청

 

be requried to 는 신문기사 등에서

많이 보이는 표현이다.

( ~하기를 바라는 바이다

  ~ 하기를 촉구한다 등의 느낌을 갖는다 )

 

폴 메카트니의  헤이 쥬드의 가사를 보면

you are made to go out and get her ~~

라는 표현이 나온다.

강하게 요청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의도 

의도는 ...

be intended to ~~ 를 

줄였다고 보면 될듯.. 

 

 가능 

 가능은 뭐...

be able to  를  줄여서 쓰자는 것 

 

 

 

 운명 

운명은

be destined to ~

be doomed to ~ 를 

줄였다고 보면 된다..

 

 

 주격보어로 쓰인 명사절  

 

주격보어로 쓰인 명사절은

주어찾기와 겹치는 부분이 많으므로, 

문제풀이를 통해 연습하면 된다.

 

 

 주격보어로 쓰인 분사 

 

분사는  ing분사(현재분사) , ed분사(과거분사)가

있음을 알것이다.

 

* 능동 수동 관련 주의할점 *

현재분사는 꾸밈받는 대상이 동작을 행할때 쓰고,

과거분사는 꾸밈받는 대상이 동작을 받을때 쓴다,

하지만, 능동적 동작과 수동적 동작 차이가

문화적 차이로 인해 이해가 안될때도 가끔 있다.

그럴때는 그냥 

영어권에서는 이렇게 쓰는구나 하고 암기를 하는게 맞다.

( => 이것에 관한 예는 주격보어로 쓰인 분사에서는 없는 편이고

with + 대상 + 분사  의 쓰임에서  보인다   )

 

 

* 감정을 나타내는 분사에서 주의 * 

감정을 나타내는 동사가 분사로 변한경우

꾸밈받는 대상이 감정을 느끼는 생물이 아니면

ed분사(과거분사) 를 쓸수 없다.

 

예를들면

surprise 놀라게 하다

surprising 놀라게 하는

surprised 놀람을 느낀 

이렇게 뜻이 되기 때문이다 

 

He is boring. 그는 주변사람들을 지루하게 만든다.

He is bored. 그는 지루함을 느낀다.

 

The game is exhausting. 

그 게임은 지치게 만드는 게임이다

The game is exhausted.( X )

그 게임은 지쳤다?  = > 쓸수 없다 

 

He is exhausting. 

그는 주변사람을 지치게 만든다.

He is exhausted. 그는 지쳤다.

 

 

My boss seems satisfied with the job I've done.

팀장은 내가 처리한 일에 만족해 보였다. 

 

 

 

 목적어 이야기 보충 내용  

 

우리말로

'A에게  B를 주다' 혹은

'A에게 B라는 동작을 전하다'  를 영어로 하면

 

동사 + A , B   ( give him  a book ) 

동사 + B , to A ( give a book to him )

동사 + B , for A ( make food for him )

중학교 때 까지는 이렇게 3가지 정도

교육과정에서 배웠다.

 

여기에 하나 더 추가 한다면

동사 + A , with B  를 알면된다

 

 

예를 들면

supply A with B ( 동사 + A + with B )

=> A 에게 어떤 동작이 가는데

B와 함께 전달이 된다는 것이다.

 

 

동사 + A  with B 는

상당수 대부분 의미가

A에게 B 를 준다의 의미가 된다.

( 아닌 경우도 많지만, 기본적인 패턴은 그렇다 )

 

그리고 많은 경우

A가 앞으로 나와서 수동태의 표현이 되는경우도

상당히 많다.

 

 

설명이 좀 길었다, 예문을 살펴보자

 

present A with  B

A에게 B를 공급하다

His mom presented  him with a watch.

His mom presented a watch for him.

He was presented with a watch,

그는 시계를 선물로 받았다.

 

 

Supply A  with B

They supplied sufferers with clothing.

They supplied clothing for sufferers.

The sufferers were supplied with clothing.

피해자들은 의복을 공급받았다.

( furnish,  provide 도 같은 방식으로 쓰인다 )

 

 

 

credit A with B

A 에게 B 라는 공(로)를 인정하다 

 

They credited the company with inventing the industrial robot.

The company was credited with inventing the industrial robot.

그 회사는 산업용 로봇을 발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수동태로 쓰이는것이 훨씬 일반적이고 자연스럽다 )

 

 

 reputation ,  repute 

 

repute는 수동태 형태, 

혹은 명사 형태로 보통 많이 쓰인다.

He is reputed to be inteligent.

He is reputed to have millions of dollars.

 

 

한가지 팁 이 있다면 ..

 

A is 동사ed  to( with ) ~~   패턴의 문장이 있을때,

혹시 동사자리에 모르는 단어가 있다하더라도,

A가 어떤 ~~ 라는 평판를 듣거나, ~~를 갖고 있거나 

등등의 의미를 유추할 수 있다는 것이다.. 

 

 

 

 

 

 

 

 

 

 

 

 

 

 

 

 

 

 

 

 

 

 

 

 

 

 

 

 

 

 

 

 

 

 

 

 

 

 

 

 

 

 

 

 

 

 

 

 

 

 

'Study > 영어구문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어의 이해(3) 연습문제  (0) 2020.07.13
보어의 이해(2)  (0) 2020.07.10
목적어찾기(6) 연습문제-2  (0) 2020.07.07
목적어찾기(5) 연습문제-1  (0) 2020.07.06
목적어 찾기(4) 연습문제  (0) 2020.07.0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