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존리의 부자되기습관
- 한국사회에서 돌봄과 육아를 둘러싼 상황
- 4차산업
- 행복의발명
- 주식초보
- 김미경강사
- 아빠의첫돈공부
- 이한마디가나를살렸다
- 자소서
- 유준상
- 한근태
- 에이트
- 독후감
- 우아한친구들
- 관광
- 인공지능
- 존리대표
- 꾸뻬씨의행복여행
- 1945년 패전을 맞은 일본인들의 최후
- 조선을 떠나며
- 이지성
- 월급쟁이부자되기
- 박성현
- 자녀경제교육
- 돌봄과육아
- 런던정신과의사헥터
- Today
- Total
KKShoney
목적어찾기(6) 연습문제-2 본문
역시나
시작단어를 어떻게 할지 고민하지 않도록
문장 시작단어 첫글자는 대문자로,
전체문장의 '동사'는 진한글씨로 했다..
긴 목적어를 대신하는 it
1) I, it, thought, better, to, the truth, tell,
=>
2) The president, changing, considers, it,
wise, the old policy,
=>
3) She, it, finds, remembering, painful,
the accident,
=>
4) We, think, the interview, what, it, in
shameful, he, said,
=>
5) We, made, have, it, a rule, money,
never, to, lend or borrow,
=>
( 우리는 돈을 빌려주지도 빌리지도 않는 것을 규칙으로 삼아왔다 )
답
1) I thought it better to tell the truth.
2) The president considers it wise changing the old policy.
3) She finds it painful remembering the accident.
4) We think it shameful what he said in the interview.
5) We have made it a rule never to lend or borrow money.
해설
일단,
이 패턴의 공통된 규칙은
주어 + 동사 + it(가목적어) + 목적보어 + 진목적어
이렇게 된다
주어는 동작을 하는데,
목적어가 목적보어 하다고
느끼거나, 알아내거나, 만들어내거나, 여기거나
등등등 이렇다...
1) I thought it better 를 쓰고나면
나머지 순서 잡는 것은 어렵지 않다 ..
( 진목적어가 to 부정사 )
2) consider 동사의 패턴을 알아야 한다
consider A / B : A를 B로 여기다
( 진목적어가 동명사 )
The president considers it ~~~
"대통령이 뭔가를 ~~라고 여긴다" 문장 이 된다
있는 단어를 활용하면
대통령이 뭔가를 현명하다고 여긴다
'뭔가' 부분이 진목적어에서
동명사구 changing the old policy 부분 이 된다
3)
find 는 발견하다
look for 는 찾아보다
이렇게 암기를 해야 영어해석에 오류가 안생긴다.
I found it good.
나는 그것이 좋다는 것을 알아냈다.
I find it good
나는 그것이 좋다는 것을 발견한다(발견했다)
사실 우리말은
발견했다도 현재의 의미를 갖는다.
4)
We think it shameful 까지는 금방 보일것이다.
what + 주어 + 동사 : 주어가 동사하는 것
=> 이 의미를 안다면 순서 쉽게 찾을듯..
5)
make it a rule to ~~
이 표현은 본사람은 알텐데...
거의 숙어처럼 굳어진 표현..
=> ~하는 것을 규칙으로 삼다
'삼아왔다' 이므로 have made 이고,
부정어 never 는 to부정사 보다 먼저 써야하니까
We have made it a rule never to ~~~
'Study > 영어구문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어의 이해(2) (0) | 2020.07.10 |
---|---|
보어의 이해(1) (0) | 2020.07.08 |
목적어찾기(5) 연습문제-1 (0) | 2020.07.06 |
목적어 찾기(4) 연습문제 (0) | 2020.07.02 |
목적어 찾기 (3) (0) | 2020.07.01 |